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소호흡기 vs. 인공호흡기 차이 & 연명치료에서의 역할

by 동구리님 2025. 4. 3.
반응형

산소호흡기와 인공호흡기는 모두 호흡을 돕는 의료 기기지만, 그 기능과 사용 목적이 다릅니다. 연명치료에서 각각 어떻게 사용되는지 확인하세요.

 

1. 산소호흡기와 인공호흡기의 기본 개념

🔹 산소호흡기(Oxygen Therapy Device)

목적: 저산소증 환자에게 추가적인 산소를 공급하여 호흡을 보조
작동 방식: 공기 중 산소 농도를 증가시켜 자연 호흡을 통해 공급
사용 대상:

  • 폐렴,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
  • 저산소증(산소포화도 저하)이 있는 환자
    종류:
  • 코산소줄(비강 캐뉼라, Nasal Cannula)
  • 산소마스크(Oxygen Mask)
  • 고유량 산소 치료(High Flow Nasal Cannula, HFNC)

🔹 인공호흡기(Mechanical Ventilator)

목적: 호흡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약한 환자의 호흡을 대신 수행
작동 방식: 튜브를 통해 직접 공기를 폐로 주입하여 기계적으로 호흡을 보조
사용 대상:

  • 심각한 호흡부전(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ARDS)
  • 중증 폐질환(폐렴, 폐섬유증)
  • 전신 마취 후 호흡이 어려운 환자
    종류:
  • 비침습적 인공호흡기(NIPPV, CPAP/BiPAP)
  • 침습적 인공호흡기(기관 삽관 또는 기관 절개)

<br>

2. 연명치료에서의 차이점

🔹 산소호흡기 사용 (생명 연장 목적 X)

  • 보조적인 역할: 자발적인 호흡이 가능하지만 산소 공급이 필요한 경우 사용
  • 연명치료로 간주되지 않음: 환자의 호흡을 대신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적 목적이 강함
  • 중단해도 생명 유지 가능: 호흡 기능이 일부 남아 있어 산소 공급을 중단해도 즉각적인 생명 위협이 크지 않음

🔹 인공호흡기 사용 (연명치료로 간주됨)

  • 호흡을 기계가 대신 수행: 자가 호흡이 거의 없거나 불가능한 경우 사용
  • 연명치료의 핵심 장비: 중환자실(ICU)에서 심각한 상태의 환자들에게 적용
  • 중단 시 사망 가능성 높음: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라 환자 또는 가족의 동의하에 중단할 수 있음

 

3. 연명의료결정법과 인공호흡기 중단

🔹 대한민국 **연명의료결정법(2018년 시행)**에 따르면, 회복 가능성이 없는 환자의 경우 본인 또는 가족의 동의하에 인공호흡기 제거가 가능
🔹 산소호흡기는 연명의료에 해당하지 않으며, 인공호흡기와 달리 중단 결정이 필요하지 않음

 

4. 결론: 산소호흡기 vs. 인공호흡기, 어떻게 다를까?

구분산소호흡기인공호흡기
기능 산소 공급 호흡 대체
대상 산소 부족 환자 자발적 호흡 불가능 환자
사용 방식 마스크 또는 비강 캐뉼라 사용 기관 삽관 또는 기관 절개
연명치료 여부 X (연명치료 아님) O (연명치료에 해당)
중단 시 영향 생명에 즉각적 영향 없음 중단 시 사망 가능성 높음

산소호흡기는 산소 공급 보조 역할을 하며, 인공호흡기는 생명을 유지하는 필수 장비로 사용됩니다. 특히 연명치료에서 인공호흡기의 사용 여부는 중요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