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접종이란?
예방접종이란 독성을 약화시킨 항원을 주사하여 항체를 형성시키고 다음에 동일한 질병의 원인균에 노출되더라도 저항할 수 있도록 면역력을 높여 주는 것이다. 아무리 독성을 약화시켰다 하더라도 어린 동물에게 일종의 균을 주사하는 것이므로 건강상태가 좋을 때 접종해야 한다.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반려견에게 예방접종을 하게 되면 오히려 질병을 유발하게 되므로 먼저 치료한 후 접종이 가능하다.
예방접종의 중요성
반려견이 질병으로부터 방오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은 조금 더 나아간 적극적인 사랑이다. 비용 때문에 예방접종을 안 하는 것보다 질병에 대한 지식이나 예방접종의 중요성에 대해 잘 몰라서 안 하는 분들도 많다. 그러다가 나중에 전염병에 걸려서 이미 손을 쓸 수 없는 상태가 된 후 예방접종을 하러 오거나 반려견을 잃고 나서 후회하는 분들도 있다. 개를 개답게 키운다는 것은 무방비 상태에서 키운다는 것과는 전혀 다른 말이다. 예방이 가능한 질병에 대해서는 미리대비하는 것이 올바른 반려인의 자세일 것이다. 예방접종은 본인의 반려견뿐 아니라 주변의 개들도 전염원의 역할을 하지 않는 공중보건의 의미도 있다. 예반접종은 본인의 반려견뿐만 아니라 주변의 개들을 위해서도 중요한 일이다.
대표적인 예방접종
한국에서 사용되는 개의 기본 예방 백신에는 혼합백신 (4종, 5종), 코로나 장염 예방백신, 전염성 기관지염 예방, 신종플루 예방백신, 광견병 백신이 있다. 그 외 곰팡이 백신이나, 면역증강 주사와 같은 백신들도 있다.
예방접종은 어미에게 받은 항체의 수명이 점점 효력을 잃어가는 생후 42일 전후에 실시하고 2~3주 간격으로 총 5~6회 실시하게 된다.
각각의 백신들은 1회 접종으로는 면역이 생기지 않는다. 여러 백신에 노출이 되어야 항체가 생기는 질병은 여러 번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
예방접종의 종류와 접종 횟수
일반적으로 기본접종 프로그램은 혼합백신 5차, 코로로장염 2~3차, 전염성 기관지염 2~3차, 인플루엔자 2차, 광견병 1차 접종이 추천된다. 항체검사를 통해 낮게 항체가 생성되었다면 보강접종을 실시한다.
기본접종이 끝나면 매년추가 접종은 통해 항체를 유지시키고 7세 이상 개의 경우 과백신을 방지하기 위해 접종 전 항체가 검사를 한다. 항체가 검사를 하지 않는다면 매년추가백신으로 항체가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방접종이 필요한 이유
전염병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나 세균이 반드시 외부산책이나 외출을 해야 감염된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가족들이 입었던 옷, 신발 등을 아무리 깨끗이 관리한다고 해도 바이러스와 세균을 완전히 막을 길은 없다.
온 가족이 밀실에서 지내며 외부에 나가지 않더라도 공기를 통해 전염되는 균도 있기 때문에 밖에 나가지 않아도 예방접종이 필요한 것이다.
백신이란 병원균의 독성을 악화시켜 반려견의 몸에 주입하는 것인데 그래서 예방접종을 꺼리는 보호자도 있다.
만일 예방 접종이 꺼려진다면 매년항체가 검사를 통해 항체를 확인하고 추가접종 여부를 결정하는 게 좋다. 반려견 생애의 1년은 사람의 4~7년에 해당된다. 때문에 모든 것이 사람에 비해 빠르게 변화하고 노화하고 소멸된다. 그러므로 나이가 들었다 할지라도 주기적인 예방접종이 필요하다.
과거, 집 마당 작은 공간에서 살던 강아지들은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다. 예방접종이 반려견에게 시작된 것은 80년대 중후반으로 그렇게 오래된 일이 아니다. 이때는 반려견들의 수명이 그다지 길지가 않았다. 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반려견이 10세가 넘어가면 신기하게 생각했다. 동물들도 의학의 도움을 받아 건강의 지식의 향상으로 장수를 누리고 있다. 그러나 예방할 수 있는 전염병에 질병에 의해 고통을 받다가 죽음에 이르는 것은 보호자에게나 돔물에게나 참을 수 없는 고통이다.
예방접종한 자리에 멍울이 잡히는 경우도 있는데 접종한 즉시 충분히 마사지해 주면 멍울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멍울이 생긴 다음 마시지를 하면 오히려 혈관이 더 형성되어 멍울이 커지게 된다. 예방접종 당일에는 마사지를 해도 좋지만 이후에는 만지지 말고 그냥 두는 것이 좋다.
예방접종 후 주의 사항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지는 않는지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접종한 날은 몸이 아프고 몸살이 난 것처럼 컨디션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혼자 있으려고 한다면 지켜봐 주는 것이 필요하다. 강아지가 스스로 나와서 놀자고 하기 전까지는 관찰만 하면 된다. 예방접종 후 3일간은 목욕을 하지 않고 장거리 여행을 금하고 다른 동물이나 사람이 많은 애견카페나 마트 같은 곳을 피하는 것이 좋다.